여행지 풍경

울릉도 행남해안 산책길

솔곡 2013. 5. 5. 16:45

  (울릉도 행남해안 산책길)

                                                                                                                                      위치: 경북 울릉도

                                                                                                                                      탐방일: 2013.5.1(목)

 

 

 

 

 

 

 

 

 

 

묵호에서 울릉 도동항을 오가는 여객선 썬플라워2호, 오전 8:20 출항, 목요일인데도 정원 805명 만석이다.  

조금만 늦었어도 표를 구하지 못할뻔... 날씨는 흐리고 가랑비 내리고 너울성 파도 땜에 3:30분 소요, 도동항에 도착.

 

 

  

 

 

도동 도착 후, 먼저 숙소 정하려 모텔 찾으니 2박은 방이 없다네요. 몇군데 돌아보다 저 윗쪽에 한군데 2박 가능 집 찾음. 가방 놓고 나와

인근 식당에서 중식, 오후를 보내기 위해 행남등대까지 해안산책로를 왕복하기로(1:20여분 소요)  

 

 

 

 

 

 

 

 

 

 

 

 

 

 

 

 

 

 

 

 

 

 

 

 

 

 

 

 

 

 

 

 

 

 

울릉도의 특산물: 오징어, 호박엿, 돌미역, 향나무제품, 전복, 해삼, 소라, 돌김

 

 

 

 

 

 

행남해안 산책길 중 일부  

 

 

 

 

 

 

 

삼무오다의 울릉도: ① 삼무(三無):~도둑, 공해, 뱀이 없다. ② 오다(五多):~향나무, 바람, 미인, 물, 돌이 많다.    

 

 

 

 

 

 

 

 

 

 

 

 

 

 

가다가 뒤돌아보고,

 

 

 

 

 

 

 

 

 

 

 

 

 

 

 

해안산책로,

 

 

 

 

 

 

 

 

 

 

 

 

 

약150만년에서 1만년 전까지(어떤 자료에는 460만년~250만년전) 5단계의 열점화산활동을 거쳐 형성됐으며, 제주도보다 훨씬 앞서

만들어졌으니 울릉도가 제주도의 형님인 셈이다. 당시 약2,000m 깊이의 동해바다를 뚫고 올라온 마그마가 식어 오늘의 울릉도가 탄생했고...

근데, 독도는 또 울릉도보다 100만년쯤 전에 생성되었다니, 결국 맏 형이 독도, 둘째가 울릉도, 막내가 제주도...첨 알았네.

 

 

 

 

 

 

 

 

 

 

 

 

 

  

 

 

 

우산을 쓰고 걸어도 불편함이 없다. 바람 없으니,

 

 

 

  

 

 

 

 

 

 

 

 

 

 

 

 

 

 

 

 

 

 

 

 

 

 

 

  

 

저동항 길과 행남등대 길이 갈라지는 삼거리

 

 

  

 

 

행남등대로 가기위해 우측 산죽터널을 통과한다.

 

 

 

  

 

오늘의 목적지 행남등대

 

 

  

 

 

등대건물 뒷편에 행남등대전망대

 

  

 

 

 

행남등대 전망대서 본 풍경, 촛대바위 가는 길,   

 

 

  

 

촛대바위와 저동항. ---먼 옛날, 이 저동항에 딸 하나를 데리고 살던 노인이 있었는데, 어느 날 이 노인이 고기를 잡으러 바다에 나갔다가

심한 풍랑을 만나 돌아오지 못했다고 한다. 며칠을 기다리던 딸이 아버지를 그리워하다가 바다로 들어가 죽었는데 저기 촛대바위가 되었다는

전설이 전해온다고 한다.

 

 

 

 

 

멀리 관음도와 죽도가 보이고, 



 

 

 

조금 당겨본 죽도, 대나무가 많이 자생하여 죽도(竹島)라 부르며, 현재 1가구의 주민이 살고 있다고 함


 

  

 

 

등대 마당에 동백  

 

 

 

 

 

 

 

 

 

 

 

등대에서 내려오는 길에 흑염소 3모자  

 

 

 

 

 

행남등대서 도동으로 회귀  

 

 

 

 

 

 

 

 

 

 

 

 

 

 

 

 

 

가로등을 보아 밤에도 개방하는 듯,

 

 

 

 

 

비가 그쳤다. 우산 접으니 팔이 편해졌고,

 

 

 

 

 

 

 

 

 

 

 

 

 

 

 

 

 

 

 

 

 

울릉도

지은이 / 유치환

 

 

동쪽 먼 심해선(深海線) 밖의

한 점 섬 울릉도를 갈거나

 

금수(錦繡)로 굽이쳐 내리던

장백(長白)의 멧부리 방울 튀어

애달픈 국토의 막내

너의 호젓한 모습이 되었으리니,

 

창만(滄茫)한 물굽이에

금시에 지워질 듯 근심스레 떠 있기에

동해 쪽빛 바람에

항시 사념(思念)의 머리 곱게 씻기우고,

 

지나 새나 뭍으로 뭍으로만

향하는 그리운 마음에,

쉴새없이 출렁이는 풍랑 따라

밀리어 오는 듯도 하건만,

 

멀리 조국의 사직(社稷)의

어지러운 소식이 들려 올 적마다

어린 마음 미칠 수 없음이

아아, 이렇게도 간절함이여!

 

동쪽 먼 심해선 밖의

한 점 섬 울릉도로 갈거나

 

                                                                                                          ----------(울릉 행남해안 산책로 끝)

 

  



'여행지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릉도 독도 전망대   (0) 2013.05.08
울릉도 섬일주  (0) 2013.05.07
단양8경  (0) 2012.10.26
양양 8경  (0) 2012.10.17
평창 효석문화마을  (0) 2012.09.11